1. 준비 -> 실행 [Dispacthing]
-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는 디스패처(Dispatcher)에 의해 프로세서가 부여되면서 실행상태가 된다.
2. 실행 -> 준비 [Time run out]
- 어떤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계속 독점하여 사용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OS가 인터럽트 클럭을 두어서 지정된 시간 동안만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점유하도록 한다.
3. 실행 -> 대기 [Block]
- 실행상태의 프로세스가 지정된 시간 이전에 입,출력 연산 등을 필요로 할 경우 그 프로세스는 스스로 프로세서를 양도하게 된다.
4. 대기 -> 준비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끝났을 때,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이트 박스 검사 (0) | 2022.03.08 |
---|---|
프로세서 스케쥴링 (0) | 2022.03.08 |
프로세스 상태 (0) | 2022.03.06 |
C언어 연산자 우선순위 (0) | 2022.03.06 |
교착상태 (Deadlock) (0) | 2022.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