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쉬운 파이썬 코딩 2. 숫자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by Coding_mon 2020. 2. 23.

 

처음에 파이썬을 설치하고 컴퓨터에게 'Hello World'를 출력하도록 명령해봤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컴퓨터에게 숫자를 계산하라는 명령을 내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사칙연산자(+, -, *, /)를 통하여 계산기 처럼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1)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계산

'a = 3', 'b = 4'라는 명령어는 변수 'a' 'b'에 각각의 '3''4'라는

데이터 값을 할당한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여기서 a b의 사칙연산 관계를 출력하기 위해 'print'라는 함수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print명령문 안에 , 표시는 출력 구문을 나누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덧셈을 계산할때는 '+', 뺄셈을 계산할때는 '-', 곱셈과 나눗셈의 계산은 'x' '/'기호를

이용하여 입력을 해줍니다.

'F5'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한 내용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Shell'화면이 나오면서 입력한 명령어에 대한 화면이 출력되게 됩니다.

 

 3 + 4 = 다음에는 , 다음에 나타난 변수 a + b 의 출력 값인 7 이 나타내어 집니다.

그 다음으로는 제곱과 나머지 몫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제곱을 나타날때는 '**'기호를,

'a**b'라는 명령어는 'a b제곱'이라는 뜻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a**b' '3 4번 제곱'한 값을 구하는 명령어가 됩니다.

 

나눗셈을 할때는 '/'기호를 사용합니다. 여기서 몫과 나머지를 구하는 방법은

나눗셈 후 나머지를 알고 싶을때는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여기서 '7%3' 7 3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는 명령어 입니다.

 

나눗셈 후 몫을 알고싶을때는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7//3' 7 3으로 나눈 몫을 구하는 명령어 입니다.

 

각각의 계산식을 출력하기 위해 'print'함수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입력하고 'F5'버튼을

눌러 파이썬을 실행시킵니다.

'Shell'화면을 통해 계산한 값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숫자형을 계산하는 명령어를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print명령어를 사용한 문자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부탁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