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

쉬운 파이썬 코딩 1. 파이썬 다운로드 및 설치 (Python install)

by Coding_mon 2020. 2. 23.

프로그래밍이나 코딩을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제일 쉽고 간단하면서 작업속도가 빠른 언어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파이썬(Python)'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파이썬의 특징을 간단하게 알아보면

문법이 쉬워 빠르게 학습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모든 일을 파이썬 하나로만 해결이 가능합니다.

그러고 무엇보다도 무료이며 개발속도가 빠릅니다.

이부분은 나중에 다룰 웹 해킹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직장인들의 반복되는 업무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첫페이지로 간단하게 파이썬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1. 파이썬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 인터넷 검색창에 'python'을 검색하여 통해 공식 사이트인

  'python.org'에 접속을 합니다.





2.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보이는 상단부분'Downloads'를 클릭합니다.

 


 

3. 자신의 컴퓨터에 맞는 운영체제를 환경을 선택하여 클릭을 합니다.



 

4. 파이썬은 두 가지의 버전이 있는데 파이썬2와 파이썬3는 일부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파이썬2는 2.7버전을 마지막으로 추가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파이썬3와 호환되지

  않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가장 최신버전인 파이썬3를 다운받겠습니다.

  zip파일은 설치를 하지 않고 압축만 풀어서 실행시킬때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불편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한 installer파일을 다운 받아 실행합니다.



 



 

 

5. 다운로드 받은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서

  파이썬을 어느 곳에서든지 실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windows 환경변수에

  파이썬이 설치된 경로를 추가하는 옵션인 노란색으로 강조한 'Add Pyton 3.7 to PATH'

  박스를 체크를 하고 설치를 합니다.

 

 




※ 체크를 선택 안하고 설치를 하면 명령프롬프트 상에서 'python'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였을때 시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파이썬의 설치 경로를 인식 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 체크를 하고 설치를 하고 똑같이 실행을 하면 여기서는 시스템의 환경변수에 파이썬이

  등록이 되어 통합환경이 아니어도 명령프롬프트 상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걸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5. 설치가 완료 된 후 윈도우의 시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파이썬이 설치가 되었다는 걸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하나는 'Python 3.7'과 'IDLE (Python 3.7)' 파일입니다.

 

'python 3.7'




5-1) 첫번째 'Python'프로그램은 실행 시키게 되면 검은색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이 화면을

   'Shell'이라고 합니다. 여기서는 간단한 소스코드를 바로 실행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여기에서는 입력한 하나의 소스코드가 끝나면 결과를 바로 출력해주기 때문에 확인을

  빨리 할 수 있다는 편리 함이 있지만 오타가 발생하거나 잘못 정보를 입력 했을 시

  수정을 할 수 없고 종료를 하면 입력한 소스코드가 사라지기 때문에 

  복잡한 작업에 있어서는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IDLE (Python 3.7)'




5-2) 'IDLE (Python 3.7)' 은 쉽게 생각하면 코드를 편집 할 수 있는 통합개발환경 입니다.

 실행시키게 되면 앞에서 보았던 'Shell'창이 나오게 되고 여기서 코딩한 내용을 파일로

 저장을 할 수 있고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File' > 'New File' 클릭하여 코딩창을 새로 만들어 줍니다.

 



 

편집을 할 수 있는 에디터라고 하는 화면이 나오게 되는데 여기에서 이제 명령문들을

입력하여 코드를 만들 수 있고 수정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줄을 입력해도 바로 결과를 보여주지 않고 실행을 시켜야지만 명령을 실행합니다.

 



6. 간단한 예제로 에디터창에 'Hello World'라는 글자를 출력해주는 명령어를 입력하고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Run'을 클릭합니다.



6-1) 여기서 'Run Module'을 클릭하면 입력한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고 간편하게 'F5'버튼으로도 작동을 하는 걸 알수 있습니다.

 





※ 처음 새로운 파일을 만들고 실행을 하였을때는 작성한 코드를 저장을 하라는 메세지가 

   나오며 저장을 하지 않을 경우 실행이 불가능하므로 경로는 자유롭게 정의하고 저장

   을 하고 난 다음에 실행합니다.



 


8. 저장을 하고 실행을 하게 되면 처음 실행했을때 보았던 'Shell'화면이 나오게 되면서

 에디터 창에서 입력했던 명령문이 실행되는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여기 'Shell'에서는

 에디터 에서 입력한 코드를 다 가지고 실행 된 상태이기 때문에 입력한 코드를 다시 또

 입력해야된다는 번거로움이 없습니다.

 





9.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해당파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Edit with IDLE'항목으로 실행 시키면 만들었던 에디터 창이 나오게 됩니다.





  'Hello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게 프로그래밍 언어의 첫 걸음입니다.

여기까지 따라오신 여러분들은 오늘 컴퓨터에게 'Hello World'를 출력하게 명령하였으며

앞으로 더 많은 명령을 컴퓨터에게 내려 실행시키는 방법을 배우게 도와드리겠습니다.


 

댓글